본문 바로가기
IT Tips

인터넷 웹 주소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by SenseChef 2014. 5. 25.

웹 브라우저의 인터넷 주소 너무 복잡해요 ! 무엇을 의미 하나요 ?

 

무수한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항해 하기 위해서는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해야만 한다. 포털에서 검색 했다면 간단히 해당 사이트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그런데 이 주소가 간단한 경우도 있지만 복잡 난해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용 하려면 인터넷 홈페이지의 주소 체계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다.


요즘 한창 인터넷 홈페이지 만들기에 도전하고 있는 지인이 인터넷 주소에 대한 설명을 부탁한다. 이에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통해 넣는 주소의 의미 및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알듯 말듯한 웹 브라우저 인터넷 주소(Internet Web addressing scheme) !


 

인터넷 주소는 어디에 방문하려는 것인지, 무엇을 볼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

 

아래의 그림은 웹사이트에 대한 개념적인 설명도이다. 이 웹사이트는 가상의 사이트로 www.portal.com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만약 인터넷에서 http://www.portal.com이라는 주소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이 웹사이트의 index.htm이라는 화일이 실행된다. 또한 http://www.portal.com/index.htm이라 입력해도 된다.


이렇게 Index.htm이 자동적으로 실행 되도록 규칙을 만든 것은 이용자들이 최소한의 정보만 입력토록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웹 사이트 서버들은 index.htm을 갖고 있다. 일부 사이트의 경우 index.html 또는 다른 이름으로 바꿔 놓은 경우도 있다.


그런데 http://www.portal.com/mail/author.htm의 경우에는 mail이라는 이름이 웹 사이트 주소에 추가 되어 있다. 이것은 어떤 의미일까 ? 아래 그림에 있는 것처럼 웹사이트 내에 별도의 폴더(디렉토리)가 있는 경우 이것을 지정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http://www.portal.com/mail/author.htm의 경우 웹 사이트 내에 있는 mail 폴더 내의 author.htm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에 있는 http://www.portal.com/search/issue.htm?q=world&id=1241&country=japan의 경우 추가적인 정보가 주소줄에 들어가 있다. 뭔가 복잡해 보인다.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나 검색 지역 등을 웹 사이트의 서버에 전달해야만 한다. htm이후 ?이후에 넣은 값들이 이러한 정보들이다. 정보가 여러개 있는 경우 &를 이용해 구분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http://www.portal.com/search/issue.htm?q=world&id=1241&country=japan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issue.htm이 실행될 때 검색어 q로 world를, 아이디(ID)로 1241을, 검색 국가 country로 japan을 전달 한다는 뜻이다.


 

실제의 포털 사이트에서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

 

아래 사진은 포털 다음의 메인 사이트이다. http://daum.net을 입력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물론 이 사이트에도 index.htm 또는 변형된 형태의 자동 실행되는 HTML 화일이 존재한다.


뉴스란에 있는 "지구대서 욕설...' 위에 마우스를 위치 시키면 웹 브라우저 하단에 해당 링크의 주소가 나타난다. 다음은 해당 링크의 실제 주소이다. http://media.daum.net/society/?newsId=20140525060205868


이 링크를 클릭하면 media.daum.net이라는 다음의 뉴스 서버로 이동하여 society 폴더 내의 자동 실행되는 html 화일에 newsid로 20140525060205868를 전달하라는 의미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뉴스의 사회면에 있는 기사 중 2014년 5월 25일자에서 해당 기사를 찾아간다는 의미이다.


위의 그림에 보면 우측 상단에 '회원가입'이 있다. 이것의 링크는 https://member.daum.net/join/join.do이다. 이 때는 회원가입 업무를 담당하는 member.daum.net 서버로 이동하여 join 폴더 내의 join.do라는 화일을 실행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실시간 이슈 검색어에 '추신수 교체'가 있는데 이 링크를 클릭하면 주소가 다음과 같이 길다.

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ate=issue&q=%EC%B6%94%EC%8B%A0%EC%88%98+%EA%B5%90%EC%B2%B4&guide=rissue&rtupcoll=DQP,NNS&DA=ATGF


이때는 검색을 담당하는 search.daum.net 서버로 이용하여 검색어 처리를 하는 것이다. ? 이후에는 검색 서버에 전달할 내용이 여러개 들어 있다. 실제의 검색어는 q이후에 나와 있는 %EC%B6%94%EC%8B%A0%EC%88%98+%EA%B5%90%EC%B2%B4인데 갑작스런 외계어에 당황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한글을 서버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웹서버들이 기본적으로 영문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한글의 경우 이에 맞게 변환해야만 한다. %뒤에 한글의 코드가 기입되어 있으며 '추신수 교체'라는 한글을 의미한다.


다음은 네이버(Naver)의 경우이다. 아직도 진행형인 세월호에 대한 뉴스 기사가 올라와 있다. 링크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984650&iid=1083941&oid=052&aid=0000525424&ptype=011%3D984673%26mid%3Dhot%26nh%3D20140525061537


길게 주소가 나열되어 있지만 하나씩 분석해 보면 별다른 것은 아니다. news.naver.com이라는 네이버의 뉴스 서버로 이동하여 main 폴더 밑의 hotissue 서브 폴더로 이동하여 read.nhn이라는 html 화일을 실행한다. 그리고 어떤 뉴스를 볼 것인지의 정보를 이후에 여러개의 변수를 통해 전달하는데에 불과하다.


 

sensechef.com과 sensechef.tistory.com은 같을까, 틀릴까 ?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개인의 도메인 주소를 지정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도메인 주소가 동일한 서버 IP 주소를 가리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http://sensechef.comhttp://sensechef.tistory.com을 입력하면 두개 모두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 필자가 갖고 있는 개인 도메인 주소 sensechef.com에 티스토리 블로그의 IP 주소를 연결 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http://www.daum.net과 http://daum.net은 같을까, 틀릴까 ? 두개의 독립된 주소이기에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앞에 있는 www를 생략하여 이용하기에 위의 2개 도메인 주소의 서버 IP를 일치시켜 두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www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확장자가 htm인 경우도 html인 경우도 있어요 !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면 HTML 화일의 확장가가 .htm, .html 등으로 혼재되어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웹 사이트에 들어가 있는데로 넣으면 된다. index.htm의 경우 사이트에 따라서는 index.htm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웹 사이트의 주소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따라서 대소문자를 정확히 넣어줘야 하며, 이러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소문자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http://sensechef.com/index.htm과 http://sensechef.com/Index.htm은 다른 화일이다. index에서 첫번째 i가 두번째의 경우에는 대문자 I로 씌여져 있기 때문이다.



http, https는 무슨 차이인가요 ?

 

위에 이미 나왔던 다음 포털의 회원 가입 링크의 주소는 http가 아닌 https가 앞에 나와 있다(https://member.daum.net/join/join.do). 일반적인 웹 주소와 달리 s가 붙어 있으니 이 또한 이용자를 당황스럽게 만든다.


그러나 https는 HTTP secure의 약어로 보안을 위한 접속이다. 통상의 인터넷 연결은 암호화 되지 않은 평문 형태로 데이터가 오고 간다. 그러나 https로 통신하는 경우 암호화 되어 전달 되므로 보안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http가 아닌 https의 경우 안전성이 높으며, 이렇게 이용 되도록 설정한 경우 https를 통해 연결해야 한다. 구글 Gmail의 경우 이용자가 http://gmail.com으로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https://gmail.com 접속으로 변환시켜 준다.



실제로 동작하는 것을 보고 싶어요 !

 

위에 있는 내용들을 필자의 지인에게 설명해 주었더니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해 달라고 한다. 그래서 필자의 서버에 PHP를 이용하여 간단한 프로그램(HTTP PHP Program coding)을 올렸다.


아래는 서버에 있는 html 코드이다. 주소 줄에서 name으로는 이름, area로는 지역, expert로는 전문 분야에 대해 값을 받는 간단한 화일이다.

<html>
<head>
<Title>HTML 주소줄 변수 전달 테스트</title>
</head>
<body>
<?php
echo "안녕 하세요 ! ", $_GET["name"], "님", " 반갑습니다. <br />\n";
echo "<br />\n";
echo $_GET["area"], "에 사시는군요 !<br />\n";
echo "<br />\n";
echo $_GET["expert"], "에 대해 잘 부탁 드립니다 !<br />\n";
?>
</body>
</html>


이것은 http://stevengo.woobi.co.kr이라는 서버에 html1.htm이라는 이름으로 올라가 있다.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결과가 어떻게 될까 ?


http://stevengo.woobi.co.kr/html1.htm?name=SenseChef&area=Seoul&expert=Computer

http://stevengo.woobi.co.kr/html1.htm?name=David&area=NewYork&expert=smartphone


실제로 위의 첫번째 링크를 클릭하면 결과 값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변수가 전달되어 표시 됨을 알 수 있다.

안녕 하세요 ! SenseChef님 반갑습니다.

Seoul에 사시는군요 !

Computer에 대해 잘 부탁 드립니다 !


또한 name 등의 값을 바꾼 2번째 링크의 경우 다른 값이 나타난다. 위의 2개 링크는 동일한 HTML 화일에 변수 값을 다르게 전달하여 나타내 주는 사례를 보여 준다.



인터넷 주소를 알면 더욱 재미있을 인터넷 이용 !

 

위의 인터넷 주소에 대해 이해가 되었다면 포털 등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링크들이 친근하게 다가올 것이다. 또한 이것을 보면 포털 등이 각 서비스를 동일한 서버를 이용하는지, 분산 처리 하는지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무리 주소줄이 복잡하고 길더라도 그 의미를 하나 하나 살펴보면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을 알 수 있으며, 자신의 웹 사이트 설계 시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다.

 

알면 더욱 친근하고 가깝게 다가오는 것은 인터넷도 예외가 아니다. 네티즌 여러분 모두의 즐거운 인터넷 생활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