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심심찮게 들리는 얘기들은 방송사업자들이 서로 비난하며 헐뜯고 소송을 건다는 뉴스들입니다. 지상파 방송사는 위성 방송 스카이라이프(Skylife)와의 콘텐츠 전송 대가 협상이 원만히 진행되지 않자 지상파 방송 송출 중단이라는 강수를 두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방송법에서 특정 방송 콘텐츠 제공 사업자(PP, Program Provider)가 전체 매출액 기준으로 33%이내를 점유할 수 있는 조항을 49%로 완화 하려는 방송법 개정안에 대해 국내 최대의 PP인 CJ에 대한 특혜라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접시없는 위성방송으로 가입자 몰이에 나섰던 KT의 DCS(Dish Convergence Solution)는 케이블TV 사업자 등의 민원 제기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를 위법한 것으로 결정 했으나 이에 불복하고 가입자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는 소문입니다.
위성방송 접시 안테나, Image source: soguri.pe.kr
또한 IPTV 사업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가입자 제한이나 직접 사용채널 관련 규제를 완화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도 타 방송사업자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습니다. 직접 사용채널이라 함은 IPTV 사업자가 자신의 채널을 직접 운영하는 것인데요, 그동안에는 이것이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자신의 플랫폼에서 자신이 운영하는 채널에 특혜를 많이 줄 가능성이 높기에, 이런 경우 해당 IPTV에 입점해 있는 타 PP들은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방송사간의 분쟁이 그동안에도 있어왔지만 이렇게까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던 적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
문제의 본질은 방송 시장은 성장하지 않고 있는데 새로운 미디어와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방송사의 주된 수익원은 광고입니다. 방송사가 광고를 내 보내면 전국적인 파급 효과에 따라 광고주가 막대한 광고료를 지급하고 이것이 방송사의 운영을 지탱하는 주요한 수익의 원천입니다.
그런데 광고 시장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
ㅇ 광고 시장은 방송사 위주에서 인터넷 광고로 확장되어 방송사의 파이가 줄어 들었다.
예전에는 광고를 내 보낼 유효한 수단이 방송사나 신문사가 유일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어떤가요 ? 다음이나 네이버, 네이트 등 포털들의 인터넷 광고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방송사의 광고 매출을 넘어서려고 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경기가 나쁘다보니 광고 시장 전체가 성장하지는 않았습니다.
즉 광고 시장 전체가 성장하지 않는 상황에서 방송사 외에 인터넷이란 강한 경쟁 매체가 들어서니 방송사의 주된 수익원인 방송 광고 시장 매출이 축소된 것입니다.
ㅇ 방송에 DMB, IPTV 등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여 방송사업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는 지상파 방송사 밖에 없었으나 이후 케이블TV가 등장하고,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 지상파 DMB, 위성 DMB, IPTV 등의 새로운 미디어가 시장에 진입 했습니다. 새로운 미디어이기 때문에 방송 시장에 활력을 줄 것이라는 판단에서 도입한 것들입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새로이 진입한 방송사업자들 역시 광고를 주된 수익원으로 하는 기업들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방송 광고 시장이 인터넷과 경쟁하면서 줄어 드는데, 방송 광고 시장에 새로이 많은 방송사업자들이 등장하니 광고 시장을 이들과 나눠 먹을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즉 파이는 줄어 들었는데 이 파이를 나눠 먹을 형제들이 증가하니 개별 사업자들 입장에서는 먹고 살 것을 걱정해야 하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한 것입니다.
서두에서 얘기했던 방송사업자들간의 분쟁의 주된 목적은 제한된 방송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 싸움입니다. 경쟁 심화 및 사업자수 증가에 따른 광고 매출이 축소되니 어떻게든 살아남고자 하는 방송사업자들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입니다. 따라서 그 싸움의 정도는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사태를 일으킨 원인은 새로운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도입한 정부에도 일정 부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미디어의 도입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기에 무작정 비판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렇지만 속도 조절이나 유효 경쟁 정책과 같은 사업자 상황을 고려하는 정책이 적절했는지는 정부에서 한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방송사업자들의 분쟁, 앞으로도 수그러들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사업자들간의 경쟁에 따른 자율적인 퇴출로 시장은 결국 안정화 될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당장 불편함을 느끼더라도 방송사업자들의 어려움을 이해 하시고, 방송 시장의 자정 과정을 지켜보는 지혜를 발휘해 보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IT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독자 스마트폰 OS 성공 가능성은? (4) | 2012.09.11 |
---|---|
NOKIA의 Lumia 920 성공을 기원 하면서 (0) | 2012.09.07 |
트위터의 관심기반 광고와 카카오톡의 벤치마킹 필요성 (0) | 2012.09.05 |
RFID 칩 인체 삽입에 따른 논란 가능성 (1) | 2012.09.04 |
XP의 놀라운 생명력과 독점 기업의 위험성 (0) | 2012.09.03 |